기획보도
-
[심층보도] 법무부와 협력 본격화···미래의 교정 전문가를 위해
법무부와 함께하는 교정의 미래 지난달 8일 본교는 법무부 교정본부(이하 교정본부)와 '교정·교화 정책 발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총장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본교 이윤규 총장 △법무부 교정본부 신용해 교정본부장 △본교 범죄교정심리학전공 교수들이 참석했다. 본 협약은 과학·체계적 분류심사 제도를 구축하고,...
-
[심층보도] 집이 아닌 ‘공간’에서 살아가는 학생들
대학생 10명 중 8명 ‘주거비 부담’ 2011년 개정된 우리나라 최저주거기준에 따르면 가구구성별 최소 주거 면적은 1인 가구 기준 14㎡이다. 여기에 △수도시설을 갖춘 전용 부엌 △화장실 △난방시설 △환기 △채광 등 여러 기준을 충족해야만 한다. 우리나라 최저주거기준은 2011년 개정된 이후 지금까지 바뀌지 않아 취약 거처에 대한 ...
-
[축제 속으로] 캠퍼스를 둘러싼 승부, 그 뜨거웠던 현장 속으로
모두 선수가 된 ‘2025 P:ULSE 선수권대회’ 올해 본교 서울캠퍼스(이하 서울캠) 봄 축제는 제7대 관광문화대학 P:ULSE 학생회(이하 관문대 학생회)의 주도하에 ‘2025 P:ULSE 선수권대회’라는 이름으로 진행됐다. 관문대 학생회는 ‘P:ULSE 선수권대회 본부’ 부스를 운영해 △ID 카드제작 △선수권대회 종목별 게임 △기네스북 등...
-
[심층보도] 확대운영위원 98명 중 68명 참석, 본교의 미래를 논하다
1학기 확대운영위원회 개회, 4개 안건 모두 가결지난 8일 본교 제38대 내일 총학생회는 학생총회가 미개회됨에 따라 1학기 확대운영위원회(이하 확운위)를 소집했다. 확운위는 △총학생회장 △부총학생회장 △총학생회 집행부 전 인원 등으로 구성된 의결기구로, 개회 및 안건에 대한 의결은 재적인원 2/3 이상의 출석에 의해 개회되며 출석 ...
-
[오늘의 대학가] 당신의 학점, 포기하시겠습니까
지울 수 있다면 지우고 싶은 과거 ‘학점 포기제’란 취득한 성적에 대해 학생이 신청할 시 성적증명서 상에서 삭제할 수 있는 제도로, 본교의 경우 2013학년도 2학기까지 수강한 과목에 한해서만 신청 가능하다. 이는 재수강과는 차이를 보인다. 재수강은 취득한 성적이 일정 수준 이하인 과목에 대해 다시 수강해 학점을 취득할 수 있...
-
[취재기획] 셔틀버스… 학생에겐 전쟁 학교에겐 공백
이 노선은 이제 운행하지 않습니다 본교는 현재 학생들의 통학을 위한 셔틀버스를 운영 중이다. 지난해 기준 통학 노선 10여 개, 하교 노선 8개로 총 18개 노선으로 운행된 셔틀버스는 △학생들의 안전한 귀갓길 확보 △편리한 통학 지원 △학교 홍보 효과 등을 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이는 과거 학교 주변 부 지가 충분히 개발되지 않았...
-
[취재기획] 감정평가 금액만 268.8억, 교육용에서 수익용으로
이 부지는 이제부터 용도가 변경됩니다 지난달 25일 진행된 2025학년도 제2차 대학평의원회 회의에 따르면 본교 유휴 교육용 기본재산을 수익용 기본재산으로 변경하는 안이 가결됐다. 구성원의 동의가 이뤄진 것으로, 이후 용도변경을 위해 이사회에서 심의 후 의결 예정이며 교육부에 기본재산 용도변경을 신청할 계획이다. 사립학교법 시...
-
[취재기획] 보이지 않는 불편, 연결되지 않는 캠퍼스
시대를 거스르는 교내 와이파이의 현실 본교의 와이파이에 대한 불만은 수년에 걸쳐 제기돼 왔다. 본지 1096호(23.12.04. 발행) 6~7면 취재기획에 따르면 학생들은 지난 제36대 바다 총학생회의 가장 아쉬운 공약으로 ‘교내 와이파이 보수 및 확대’를 꼽았다. 또한 본지 1107호(24.10.28. 발행) 13면 심층보도에 따르면 작년 10월 10일에 진행된 ...
-
[심층보도] 고성능 GPU로 실습 환경 개선···AI 교육 혁신의 시작
SW 교육의 전환점을 맞이하다 지난 2021년 4월 본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하 IITP)이 주관하는 ‘SW중심대학 2단계 사업’에 선정된 바 있다. 해당 사업은 산업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실무형 SW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사업 운영을 통해 본교는 매년 20억 원씩, 8년 기준으로는 총 150억 원에 달하는 ...
-
[심층보도] 89% 이용자 높은 GPT 표절률 “내가 작성했는데···”
AI 잡는 AI 등장?‘카피 킬러(Copy Killer)’는 작성한 텍스트의 독창성을 평가하고 기존 문서와의 유사성을 분석해 표절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본교는 해당 프로그램을 재학생 및 교수가 이용할 수 있도록 본교 사이트 내에 제공하고 있다. 카피 킬러에 포함된 ‘GPT 킬러’는 표절 문서 검사 서비스의 기능 중 하나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