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촌, 디자인을 입다
- 산학협력단 김경배 교수우리는 21세기 지식산업 사회의 변화 속에 살고 있다. 디자인은 단순한 아름다움의 개념을 넘어 종합적이고 융화의 축으로 변화 하고 ...
- 2023-03-14편집국
-
- 패션과 커뮤니케이션
- 안상희(교양학부) 교수 일반적으로 패션(fashion)이라고 하면 ‘유행’ 이라는 개념과 같이 쓰이는데 넓은 의미의 패션은 특정한 시기에 한 집단의 사람들에 의해서 채택된 생활양식을 의미한다. 따...
- 2022-12-02편집국
-
- 쇼핑을 체험하는 오프라인 스토어의 변신
- 하은아(교양학부) 교수 언택트 시대, 쇼핑의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오프라인 매장들의 고민은 깊어져 갔다. 온라인으로 옮겨간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은 쉽게 바뀌지않을 것이라고 했고, 오...
- 2022-11-14편집국
-
- 건강과 스낵 패키지
- 원세화(시각정보디자인학과) 교수 지하철 좌석 좁지 않나요? 최근 보건복지부의 자료가 이에 대한 답을 제공할 수 있을 것 같다. 자료에 따르면 한국 성인 남성 비만율은 48%, 여성 비만율은 27.7%이다. 즉 ...
- 2022-10-22편집국
-
- 국립고궁박물관 수장고에서 만난 창덕궁 유물 ‘봉황문인문보鳳凰紋引紋袱'
- 배정하(Fine Arts학부) 교수 한국화는 40여 년간의 현대화 운동을 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전통과 현대화의 간극 속에서 힘든 여정을 겪고 난 후 현재의 대중들과 교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
- 2022-10-05편집국
-
- 당신의 마음에 최적의 완충장치(shock absorber)를
- 조한선(교양학부) 교수 ‘완충장치’는 여러 원리를 이용하여 급격한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들로 자동차, 항공기, 기차 따위에 사용됩니다. 고대의 탈것인 마차에서 승차감을 개선시키기 위한 원리...
- 2022-09-26편집국
-
- 우리 말글을 사랑하는 방법?
- 도재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국어 사랑 나라 사랑이라는 표어(標語)를 다들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여기에는 일제강점기의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면면이 이어져 온 우리 말글을 지키기 위한 숭고한...
- 2022-05-30편집국
-
- 4월의 나무와 5월의 햇살, 그리고 상흔의 이미지
- 박영택(파인아츠 학부교수) 시간과 죽음을 이길 수 없었던 인간은 이미지를 통해 위안을 얻고 시간과 죽음에 저항하고 견뎌내고자 했다. 바슐라르는 “죽음은 무엇보다도 이미지이고 또 이미지로 산다”...
- 2022-05-16편집국
-
- 인공지능의 시대와 인문학의 미래
- 공성수 (국어국문학과) 인문학은 미래가 있는가?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의 능력이 의심받고, 급기야 인간 존재에 대한 회의론까지 이어지는 마당에, 인문학은 어떤 효용을 주장할 수 있을까? 기술이 없...
- 2022-05-02편집국
-
- 분노 주머니? 그게 뭔데?
- 조한선 (진성애교양대학 교양학부) 인간이 가진 수많은 감정 중에 ‘분노’(화)만큼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한 감정은 없을 것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흔히 듣게 되는 ‘분노조절 실패’, ‘...
- 2022-04-11편집국
-
- 꽃을 피우지 않는 고독은 없다
- 권성훈 (문학평론가, 경기대 교수)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 김소월 「산유화」 중에서 꽃이 피지 않는 계절은 없다. 그만큼 우리가 사는 세계는 꽃밭이다. 이 꽃은 발견하...
- 2022-03-28편집국
-
- 루틴이 있는 대학생활
- 조극훈(교양학부 교수) 한국에서 가장 많은 독자를 확보하고 있는 일본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는 작가의 길로 나가려는 젊은이들에게 두 가지 조언을 했다고 한다.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들어 ...
- 2022-03-11편집국
-
- 코로나 이후의 대학 교육을 고민한다
- 추승엽(교양학부) 교수 지난 2년여에 걸친 코로나19 팬데믹 위기를 넘어, 이번 2022년 1학기부터 우리 대학은 전체 교과목 강의에 있어서 그동안 불가능했던 대면 강의 실현을 시도한다. 그러나 코로나19 극...
- 2022-03-02편집국
-
- 자신이 납득하는 일에의 헌신
- 박영택 (서양화·미술경영교수, 미술평론가) 박수근이 한국 미술계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적인 작가가 된지도 오래되었다. 미술시장과 옥션에서 최고가로 판매되는 ...
- 2021-12-06편집국
-
- ‘찐’ 선생이 되고 싶은 선생
- 저는 가르치는 일을 소명으로 삼고 있지만 ‘가르친다’라는 단어를 즐겨 쓰지는 않습니다. 제가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그건 얼마 안 되는 저의 지식에 관련된 부분이고, 그 이외의 ...
- 2021-11-22편집국
-
- 한류와 한국적 아름다움
- 우리의 현대적인 문화와 예술은 100여년정도의 역사밖에 이르지 않는다. 개화기 이후 서구의 문화와 예술을 모델로 하며, 동시대의 서구의 문화와 예술을 되도록 빨리 수용하여 토착화하는 것이 어쩌면 ...
- 2021-11-22편집국
-
- 이 또한 지나갈리 없다
- 권성훈 교양대학 교수, 문학평론가 많은 사람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는 “이 또한 지나가리라”는 말은 이스라엘 다윗왕의 반지에 새겨진 문구다. 이 문구는...
- 2021-10-18편집국
-
- 당신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하루 그리고 또 하나의 하루
- 누군가가 “당신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날 이틀을 선택해 보라”고 한다면, 당신은 아마도 당신의 기억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많은 날을 떠올리게 될 것입니다. 보조 바퀴를 떼고 처음 자전거를 탄 날, 처...
- 2021-10-06편집국
-
- 걷기의 행복
- 만보 걷기가 유행인 적이 있었다. 건강해지려면 만보를 걸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의하면 7500보에서 걷기 효과가 정점에 이르고 그 이상의 걸음은 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은 미치지 못하는...
- 2021-09-14편집국
-
- 대한민국예술원 유감
- 한국전쟁이 끝나기도 전인 1952년 피난지 수도인 부산에서는 이른바 ‘문화보호법’이란 것이 만들어졌다. 이 법을 모태로 해서 1954년 대통령령 제 864호로 학· 예술원 선거령이 공포되어 3월 25일 역사상 ...
- 2021-08-30편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