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칼럼
-
지도가 보여주는 세계사
권용철(사학과) 교수 역사학(歷史學)은 과거의 사람들이 문자로 남긴 기록을 바탕으로 과거에 일어났던 사건의 전개 과정을 파악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해석하는 학문이다. 그래서 과거의 사실은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역사가의 ‘주관적인’ 해석을 통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고, 그것이 오랫동안 널리 인정을 받으면서 역사로 자리...
-
외로움 그리고 한국사회의 민주주의
한승우(정치외교전공) 교수 한국 사회는 현재 정치적 갈등, 양극화 등 사회적 분열의 심각한 문제를 직면하고 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 그룹에 소속된 국가들 중에서 한국인들이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을 가장 심각하게 겪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외로움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이며 궁극적으로 이 외로움이 ...
-
“러시아는 대박이다”
김준석(러시아어문전공) 교수 전문가가 부족하다 2022년 2월 22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에 일명 ‘특별군사작전’을 감행했다. ‘21세기 유럽에서 대규모 전면전이라니, 그럴 리가.’ 예상이 보기 좋게 틀렸다. 그래도 나는 ‘문학’ 전공자이기에 어느 정도 면피가 된다. 그런데 내가 아는 러시아 지역학 전공자...
-
미래의 시간을 ‘누리기 위한’ 대학생의 핵심 역량 : AI시대의 리터러시(literacy)와 창의적 사고
하정우(관광문화콘텐츠학과) 교수 “넌 과제를 챗 GPT로 해봤니?” -AI 실시간 통역 서비스, -여행계획_AI 플래너 서비스,-버츄얼 아이돌 콘서트… 요즘, 우리 주변에서 ‘인공지능’, ‘생성형 AI’, ‘챗GPT’ 와 같은 용어는 상당히 익숙하게 다가와 있다. 인공지능(AI)은 인류의 삶에 여러 가지로 영향을 미치고 있...
-
4월이 오면…
정윤섭(산학협력단) 조교수 이 글이 지면에 실릴 즈음엔 4월이 다 갔을 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해마다 4월이 오면, 제주 4.3 사건이 생각나는 것은 우리가 피할 수 없는 기억의 순간이기 때문이다. 이 시기는 우리가 우리의 역사를 돌아보고, 과거의 아픔과 상처를 기억하며, 미래를 위한 희망과 평화를 바라보는 시간이어야 할 것이다. 제주 4.3...
-
길 위에서
김정이(fine arts 학부) 교수 길 위에서 차가워지는 겨울 바람 사이로 난 거리에 서 있었네. 크고 작은 길들이 만나는 곳. 나의 길도 있으리라 여겼지. 생각에 잠겨 한참을 걸어가다 나의 눈에 비친 세상은 학교에서 배웠던 것처럼 아름답지만은 않았었지. 무엇을 해야 하나, 어디로 가야 하는 걸까. 알 수는 없었지만 그것이 나의 첫 깨어남이...
-
You are what you eat?
추진기(시각정보디자인전공) 교수 ‘You are what you eat.’은 1930년 미국의 영양학자 빅터 린들라(Victor Lindlahr)에 의해 유명해진 말이다. 그러나, 원작자는 따로 있는데 프랑스 변호사이자 미식가 앙텔름 브리야 사바랭(Anthelme Brillat-Savarine)이 미식가로서 저술한 (1825)의 내용 중 "Tell me what you eat, and I will tell you what you are.”("당신이 무엇...
-
생성형 AI와 광고 디자인
최근 롯데백화점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2024년 봄 시즌 이미지를 공개했다(그림 1). 생성형 AI는 기존 텍스트나 이미지를 활용해 새로운 콘텐츠를 만든다. 2022년 달리2(DALL-E 2),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 미드저니(Midjourney)가 소개되면서 전세계적으로 큰 화제가 됐다. 이번 롯데백화점 프로젝트는 미드저니를 활용하는 AI 아티스트 노엘 ...
-
k- culture 가치 확산을 위한 디자인담론 -문화상품 중심으로-
한류문화대학원 K-캘리그라피학과 김경배 교수 한류의 성장으로 K-컬처 문화상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음악, 영화, 패션 등 다양한 분야의 한국 상품이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자인을 중심으로 상품기획, 개발, 유통, 마케팅, 홍보, 판매 등의 전 과정에 걸쳐 현대적 감각과 실...
-
이 시대를 사는 청년들의 고통
박윤성(디자인비즈학부) 교수 이 시대의 청년들이 경험하는 고통과 어려움은 우리가 이전에 몰랐던 차원으로 확대되고 있다. 치킨 한 마리 값이 3만 원까지 오를 수 있다는 기사가 나오는 고물가 시대에, 대학 졸업 후의 취업난이 이전보다 더 어려운 도전으로 여겨진다. 한국경제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올해의 청년층이 겪는 고통은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