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돈 잘 버는 대학이 교육과 연구도 잘한다
대학은 지식창출과 기술혁신을 선도하고 민주시민을 양성하며, 사회, 경제,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대학의 재정적 성공이 교육의 본질을 훼손한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하지만 세계적인 대학들은 대부분 돈을 잘 벌면서도 교육과 연구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대학...
-
혁신의 시대, 괴짜가 되자!
산하협력단 이양호 교수 가뜩이나 어수선한 2025년 새해 벽두에 중국발 인공지능(AI) 기업 ‘딥시크(DeepSeek)’ 쇼크는 우리에게 또 다른 상실감과 허탈감을 주고 있다. 중국이 세계 최고 수준의 AI인 ‘딥시크’를 출시한 것이다. 충격적인 것은 미국 ‘오픈 AI’의 연구 인력 1,200명의 1/9 수준인 139명과 1/18 수준의 비용(한화 ...
-
[네컷만화] 북촌 한옥마을
김선혜 기자 | sunhye@kyonggi.ac.kr
-
[진리터] 익명 커뮤니티에서 피어나는 정치 사랑
본교 익명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의 ‘HOT 게시판’은 항상 말 그대로 불타오른다. 작년에 이뤄진 본교 2025학년도 총학생회 선거는 국내 정치의 축소판과도 같았다. 특히 작년 9월 23일 본교 정이사 선임이 확정되며 각 단과대학은 의견이 분열된 채 입장문 게시를 반복했다. 이는 매번 익명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궜다. 총학생회 선거 당...
-
[기자수첩] 사회가 만든 내향인으로서 한마디 하겠습니다
요즘 대화 중 빠질 수 없는 주제는 성격 유형 검사인 MBTI이다. MBTI는 사람의 성격을 △에너지의 방향 △정보수집 △판단과 결정 △이해양식에 따라 16가지로 분류한다. 첫 번째 지표인 외향형(E)과 내향형(I)는 에너지의 방향을 외부로 두는지 내부로 두는지의 차이로 극명하게 갈린다. 물론 좋고 나쁨, 선과 악으로 둘을 나눌 수는 없지만 사...
-
[만평] 2025년 연합MT
김세은 기자 Ι seeun2281@kyonggi.ac.kr
-
[사진後] 지친 하루 끝, 작은 산에서 위로를
기자는 이번 학기 공강 없는 시간표로 인해 주 5일 쉬지 않고 학교에 나오고 있다. 본가 서울에서 수원까지 통학을 하기에 오전 수업이 있는 날에는 눈을 뜨자마자 허겁지겁 집을 나서곤 한다. 또한 올해부터 복수전공을 위해 이전에 배우지 않았던 새로운 과목들을 배워 개강한 지 꽤 많은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하루하루가 버겁게 ...
-
경기대학교의 미래 발전을 위한 동문의 역할
경기대학교가 창립 77주년을 맞이하며, 100년을 향한 비전과 방향성을 모색하는 중요한 시점에 섰다. 그동안 경기대학교를 빛낸 수많은 동문들이 있다. 특히 최근 유승민 동문이 대한체육회장에 선출되었고, 강민구 동문이 미쉐린 가이드 3스타를 받는 등 본교 출신 동문들의 사회적 성공은 우리 학교의 명성과 브랜드 가치를 한층 더 높이고...
-
내 탓! 네 덕!
2025년 새 학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온 세상이 ‘초록, 초록’하며 가슴을 설레게 만듭니다. 그리고 새로운 학년, 과목, 선후배들과 함께하는 학기 초의 시간은 가슴을 두근거리게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새로움’이 ‘익숙함’으로, ‘익숙함’이 ‘친숙함’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늘 겪게 되는 관문이 있습...
-
선동적 유튜브와 청년들의 정치편향
최근 국내에서는 계엄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경험하면서, 국민들이 좌우로 분열되어 극단적으로 대치하는 일들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여기에 선동적 유튜브들의 돈벌이 활동에 관심이 높아졌다. 오늘날 유튜브는 청년 세대의 주요 정보출처이다. 유튜브는 다양한 콘텐츠와 채널을 제공하여 사람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