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내기특집] 공강 시간 알차게 보내고 싶을 땐 여기 어때?
  • 이한슬 기자
  • 등록 2025-03-03 12:11:29
기사수정


교내 공강 시간은 우리가 책임진다!



 기자는 평소 애매한 공강 시간에 골머리를 앓았다. 무언가를 하기에도, 그렇다고 하지 않기에도 애매한 두 시간을 보내기란 쉽지 않았다. 당장 학교에 처음 들어온 새내기 시절에는 익숙하지 않은 긴 휴식 시간이 어색했다. 그럴 때마다 기자는 친구들과 함께 ‘과방’으로 향했다. 과방은 본교 학생회관에 각 학과 별로 주어진 공간이다. 실내인 만큼 날씨 상관없이 시간을 보내기 무척 좋았다. 또한 누워있을 수 있어 마음 편히 쉴 수 있었다. 친구들과 배달 음식을 시켜 먹거나 홀로 잠을 자는 등, 기자는 일 년 동안 과방을 정말 열심히 이용했다. 무엇보다 기자가 고등학생 시절부터 갖고 있던 과방에 대한 로망을 실현해 줬다. 소속감과 함께 안락한 공간이 주는 편안함은 참 소중했다.


 하지만 과방이 항상 비어 있지는 않았다. 처음 보는 선배들이 과방 안에 자리 잡고 있을 때는 들어가기 망설여졌다. 그래서 가끔은 친구와 함께 다른 장소로 발걸음을 옮기곤 했다. 또한 실내에 있기에는 날씨가 너무 좋아 아쉬울 때에도 과방이 아닌 다른 곳으로 향했다. 바로 학교 안에서 피크닉 느낌을 낼 수 있는 공간, ‘4·5강의동 광장’이다. 4·5강의동 사이 광장은 지난해 여름 조성을 시작해 2학기와 함께 이용할 수 있었다. 광장 벤치에 앉아 배달 음식을 먹거나 따스한 햇살을 맞으며 커피 한잔을 즐기면 한강 피크닉이 부럽지 않았다.


 시험 기간이 되면 공강 시간은 더욱 늘어났다. 특히 시험 주간이 되면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학교에서 대기하는 일도 존재했다. 이럴 때 기자는 학생회관 1층에 위치한 ‘아고라’로 향했다. 이곳은 특히나 빈백이 놓인 휴식 공간이 있어 편안한 자세로 시간을 보내며 쉴 수 있었다. 처음 아고라에 발을 들였을 때 발견한 빈백의 존재는 기자에게 감동을 줬다. 애매한 공강 시간, 교내에서 알차게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이 만족스럽다.


이한슬 기자 Ι lhs522701@kyonggi.ac.kr


학교 밖 공강 퇴치소로 어서 오세요



 기자는 수업 후 나른함을 풀고 재충전하기 위해 색다른 공간을 찾곤 했다. 그러다가 학교와 가까운 ‘연암공원’을 발견했다. 연암공원은 본교 수원캠퍼스 후문에서 약 15분 정도를 걸으면 나오는 공원으로 부담 없이 가기 좋았다. 약 30분 정도면 전부 둘러볼 수 있을 정도지만 산책로가 잘 조성돼 있어 중간에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게 쉼터들도 많다. 조용한 분위기에서 푸른 나무들을 보다 보면 학업에 지친 뇌가 활력을 되찾는 것이 느껴졌다. 공원의 ‘반딧불이 다리’는 수업 시간이 다가왔을 때 이용해 보자. 정문 쪽 강의동으로 갈 수 있는 다리는 빠른 이동을 도울 것이다.


 홀로 힐링하는 시간이 아닌 동기들과 함께하는 공강 시간을 보내고 싶다면 ‘광교진락볼링장’에 방문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본교 수원캠퍼스 후문에서 광교역 방향으로 약 10분 정도 걷다 보면 도착하는 곳으로, 실제로 기자는 평소 공강 시간에 볼링장으로 향하곤 했다. 쾌적한 시설에서 동기들과 볼링을 치다 보면 시간이 훌쩍 지나 있었다. 처음에는 볼링장을 자주 방문하지 않았기에 그 재미를 몰랐으나 동기들과 함께 갈수록 흥미도 생기고 볼링 실력이 늘었다. 이곳에서 보내는 공강 시간은 동기들과 즐겁고 유쾌한 추억이 될 것이다.


 학기 중 아직 공부할 장소가 필요한데 교내 시설은 만석인 경우가 많다. 이럴 땐 교외 카페로 나가는 것도 방법이다. 그중 ‘카페워터쿨러’는 본교 수원캠퍼스 정문을 기준으로 도보 2분이면 발견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초코라떼 △로투스커피 △흑당치즈토스트 등 다양한 식음료가 있다. 해당 카페는 구매 전 본교 학생증을 제시하면 음료를 10% 할인받을 수 있으니 가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 카페워터쿨러는 오피스 콘셉트 구조로 이뤄져 있어 특유의 여유로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운영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로 시험 기간 1~2주 동안에는 자정까지 운영해 시험 기간에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공간이었다.


강준혁 기자 Ι kjunh1092@kyonggi.ac.kr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