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분야에서 멋지고 싶은 사람들은 욕심이 많은 법이다. 우리 사회는 그런 사람을 독한 사람이라고 칭하며 나아가 악마로 비유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악마의 독함은 나쁜 걸까? 영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속에도 악랄한 악마로 불리는 이가 있다. 그녀의 이름은 ‘미란다’, 당대 최고 패션 잡지인 ‘런웨이’의 탑이다. 미란다의 카리스마는 동종 업계에 소문이 났을 정도로 모두에게 유명하다. 딱 한 사람, 앤드리아만을 제외하고 말이다. 경력이 필요했던 그녀는 런웨이에 입사해 미란다의 비서로 근무하게 된다. 패션과 거리가 멀었던 만큼 미란다의 예민한 모습을 보며 실소를 터트리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그러던 중 미란다의 일침에 속이 상한 그녀는 동료에게 푸념을 늘어놓지만 동료는 너부터 바꾸라고 조언해 준다. 이에 그동안의 자신을 되돌아보게 되고 극적인 변화를 만들어 낸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기회를 가져가는 등 자신도 모르게 미란다처럼 변해가고 있음을 깨닫고 충격을 받는다. 그후 원래 꿈인 기자가 되기 위해 신문사에 지원하게 되고 편집장은 근무 이력을 보고 미란다에게 쪽지를 남긴다. 면접 당시 미란다가 앤드리아를 “나에게 가장 큰 실망을 안겨준 비서다. 다만 그녀를 채용하지 않으면 당신은 멍청이다”라는 내용으로 표현한 팩스를 읽어준다. 이후 앤드리아와 미란다는 거리에서 마주치고 차에 탄 미란다는 극 중 처음으로 진심이 담긴 웃음을 선보이며 막을 내린다.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는 2006년에 개봉됐으나 아직까지도 유명세를 자랑하는 작품이다. 겨울 분위기를 한껏 품고 있는 해당 영화는 소설을 원작으로 해 작가는 실제 본인이 ‘VOGUE(보그)’의 유명 편집장의 비서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원작을 작성했다고 전했다.
“You are not trying. You are whining(너는 노력하지 않아. 징징대는 거야)”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中
사회에 나오면 앤드리아와 같은 사회초년생이 되기 마련이다. 우리는 매일을 앤드리아처럼 노력하고 완벽해 보이는 미란다를 꿈꾼다. 그러나 점차 완벽에 가까워질수록 일과 삶 그 사이에서 길을 잃곤 한다. 매일을 함께 지낸 가족이라 한들 다른 환경에 놓이면 온전히 이해할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영화 속 앤드리아가 런웨이에 녹아들수록 친구, 연인과 멀어져가는 장면에서 이를 느낄 수 있다. 외적으로는 아름답고 멋있어 보이는 세계가 사실은 얼마나 냉혹한지를 말이다. 그 모습이 때론 악마처럼 보일 수 있어도 한 분야에서 성공하고자 계속해서 변화한다. 결국 그녀는 성공이 모든 걸 대체할 수 없음을 알게 되고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무엇인지 깨닫는다. 누구나 성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행복을 놓칠 수 있다. 눈 앞에 놓인 현실에만 매몰돼 자신을 잃고 있진 않은지 생각해 보는 건 어떨까. 본인의 행복을 좇는 것이 진정한 성공이니.
홍지성 기자Ιwltjd0423@kyonggi.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