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자수첩] 기후 위기, 단순한 환경 문제일까···해답은 ‘기후정의’
  • 김선혜 기자
  • 등록 2024-09-02 16:24:00
기사수정

 

 지난 4월 29일 기상청에서 발표된 ‘2023년 이상기후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연 평균기온은 1973년 이후 가장 높은 13.7도로 ‘이상고온’ 현상이 57.8일 동안 발생했다. 특히 작년 3월과 9월은 각각 평균기온이 9.4도와 22.6도로 역대 1위를 달성했다. 올해는 고온다습한 남서풍이 한반도로 유입되면서 전국 대부분 지역이 열대야를 겪고 있다. 서울은 지난 7월 21일부터 열대야가 연속으로 나타났으며 제주 북부는 지난 7월 15일부터 열대야가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 빙하 문제 역시 심각한 상황이다. 영국 뉴캐슬대와 매사추세츠대 공동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알래스카 빙하가 녹는 속도는 1980년대보다 4.6배 빨라졌다고 전했다.

 

 이상기후가 속출함에 따라 ‘기후정의’라는 키워드는 더욱 떠오르고 있다. 기후정의는 기후 위기가 환경문제를 넘어 사회문제라고 여기는 관점이다. 현재의 기후 위기를 초래한 인간 안에서도 어느 집단에 속했는지에 따라 책임과 피해가 다르다. 예로 작년에 발표된 국제구조위원회의 연구에 따르면 소말리아, 시리아 등 총 10곳의 국가는 온실가스 배출에 거의 기여하지 않지만 지구온난화로 인한 영향에 특히 취약했다. 반면 미국은 누적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계 1위인 나라지만 유럽투자은행(EIB)이 실시한 ‘2023~2024 기후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37%는 재활용의 필요성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밝혀졌다. 이처럼 기후 위기는 사회적 불평등과 긴밀하게 연결돼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기후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 실제로 분리수거, 대중교통 이용과 같은 방안들의 효과는 미미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우리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실천해야 한다. 예를 들어 집단 내에서 거리에 쓰레기를 버리지 말자고 한다면 해당 집단에 영향이 간다. 대중교통 역시 다수가 이용할수록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개선됨에 따라 여러 불평등 요인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기후정의를 위해 오는 7일(토) ‘기후정의행진’이 진행될 예정이다. 본 행진은 녹색성장과 탄소중립 정책이 기후 위기를 해결하는 것이 아닌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한 상황에 맞서 모두의 평등하고 존엄한 삶을 지키는 것이 목적이다. 기후정의행진 외에도 여러 기후정의운동이 활발해질 수 있도록 기후정의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김선혜 기자 | sunhye@kyonggi.ac.kr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