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다 학제적 신기술융합디자인 교육의 방향
  • 편집국
  • 등록 2023-11-09 01:15:16
기사수정

김경배(한류문화대학원 K-캘리그라피학과) 교수

 

패러다임과 산업 구조 변화에 따른 교육의 변화의 필요성


 4차 산업시대가 도래하면서 환경변화의속도가 빨라지고, 기존 산업의 경계를 완전히 허무는 초연결사회의 등장으로 기술융합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관통하는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실제로 로봇, 모빌리티, IoT, AI, AR/VR 빅데이터 등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기술에서 새로운 디자인과 디자이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디자인 역할은 인간과 환경, 기술, 사회, 문화를 하나의 개념으로 연결하여 특별한 의미와 가치를 제공하는 영역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산업계의 요구 또한 전통적인 디자이너들의 요구에서 디자인 주도형 신기술융합 인재가 요구되고 있다.

 

디자인 역량의 변화와 다 학제적 신기술 융합디자인 교육 방향


 기술의 발달은 산업구조의 변화와 함께 디자인의 영역이 확대는 다양한 산업과 다 학제적 융합이 이루어지면서 새로운 비즈니스와 신산업이 창출되고 과거에 없었던 유형의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기업은 창의적인 마인드와 디자인 씽킹 기반에 조화와 균형을 담당할 디자인 리더십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21세기 디자인의 역할과 의미는 혁신을 위한 창의적인 관찰과 생각, 기술의 이해와 삶의 공감 그리고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의 협력과 조율로 혁신의 프레임을 만들고 표현하는 코디네이터이자 창의적 중재자로서 기업 내 가치사슬의 모든 과정에 참여하여 혁신의 주도적인 핵심적 역할을 한다. 이러한 디자인 리더십으로의 접근을 ‘디자인 주도혁신’(design-driven innovation)이라 할 수 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기술과다 학문의 지식, 그리고 제품과 연계·융합하여 혁신적인 비즈니스를 구현하고 종합적 사고 역량이 필요하다. 디자인은 사용자들의 욕구를 찾고 그것을 바탕으로 가치와 의미를 고민하며 사업을 위한 일관된 프레임구축, 제품과 서비스를 설계하는 역할을 한다. ‘왜, 무엇을 만들어야 할까’를 결정하는 일, 즉 문제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시대의 산업의 수요에 맞고 콘텐츠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식의 적용이 가능한(object, space, interaction, service) 신기술 융합디자인교육 의미와 가치를 가늠할 수 있다.

 

다 학제적 신기술 융합교육 체계구성


 첫째로, 다 학제적 접근과 협업을 강조하여 공학, 예술, 경영 등의 분야를 융합하는 교육체계는 본질적인 문제 해결과 현실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능력을 통합하는 교육 필요. 둘째로, 실전 프로젝트를 통한 학습을 통한 실무 능력을 키우는 프로젝트 연계 교육.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실제 산업 현장에서 경험하는 것과유사한 상황을 통해 학생주도형 문제 해결과 협업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도구와 기술 활용 교육으로 디자인 분야의 디지털 역량을 향상시키는 기초 교육과정에 필요하다. ① 융합의 첫 걸음은 디자인본질에 충실하고 관계의 이해. ② 사람과 기술에 대한 이해와 삶의 맥락에서 사용자 경험 중심 디자인 접근을 한다. ③ 산업의 트렌드 분석과 관찰을 통하여 미래를 예측하고 반영하여 교육. ④ 창의적인 리서치를 바탕으로 문제를 도출하고 가능성을 탐구한다. ⑤ 프로젝트의 문제를 재해석해 문제정의를 통한 협업의 공감능력을 학습. ⑥ 기술 융합을 통해 창의적인 콘텐츠를 구현하기 위한 기초적인 디자인능력 외의 엔진 습득(쳇GPT 운용, 기초 3D, 언리얼 등) - 디자이너들은 생동감, 입체감, 신비감 등을 부여하기 위한 창의적 컨셉화와 최신 기법의 시각화 능력을 필요하다. ⑦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언어 이해와 가상 콘텐츠 기획 및 제작 경험 등 실무 연계 수업을 진행한다. 전체 교육과정은 산업 연계와 공유 확산, 고용 취업을 통합적으로 다루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각 프로그램 간의 목적에 따른 프레임구조로 참여와 연계 방식의 오픈 플랫폼 형식의 다 학제적 자율전공교육트랙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과제중심에서 프로젝트 중심, 장르중심에서 주제 및 개념 중심, 실기와 표현 중심에서 기획과 전략의 리더십, 토론과 프레젠테이션 중심, 시각적 표현 중심에서 문제도출과 문제정의로 내용 중심 학습(콘텐츠 중심), 융합적 매체 학습과 조화, 결과보다는 과정과 프로세스(방법론) 창의적 생각의 실현, 협업과 팀 작업 중심, 평가보다는 전시 및 공감 형태의 학습으로, 보이는 것 보다는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그리고 디자인 교육과 실무 현장 간의 유기적인 관계 형성으로 실무연계 수업은 기술과 서비스융합을 통해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