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와이파이] 전기차 보급 확대되고 있지만, 안전 규정 개선부터 이뤄져야
  • 정서희 기자
  • 등록 2023-10-16 14:41:55
기사수정
  • 올해 상반기 화재 건수 42건, 벌써 작년 수치 따라잡아
전기차 화재 건수가 점차 증가하면서 전기차 안전 관련 조치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전기차 화재는 특수 진압 장비가 필수지만, 지역별 장비 현황이 매우 부족한 수치로 나타나며 안전에 대한 의구심은 더욱 높아졌다. 이에 본지는 전기차 보급에 있어 화재를 비롯한 전기차 안전 규정 및 대응 체계를 충분히 갖추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나는 전기차 화재 피해 규모


 현 정부는 전기차 보급 확대와 전기차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그러나 전기차 수요가 점차 늘어남과 동시에 전기차 화재 발생 건수와 재산 피해는 매 해 늘고 있다. 지난달 25일 소방청이 발표한 연도별 국내 전기차 화재 발생 건수에 따르면, △지난 2020년 화재 건수 11건, 재산 피해 3억 6,074만 원 △2021년 화재 건수 24건, 재산 피해 8억 7,808만 원 △작년 화재 건수 44건, 재산 피해 9억 7,500만 원 △올해 상반기 화재 건수 42건, 재산 피해 8억 3,477만 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올해 상반기는 작년 화재 건수와 비슷한 수준으로 더 이상 전기차 화재의 위험을 간과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전기차가 일반 내연기관차에 비해 화재 발생률이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화재 진압이 쉽지 않아 대규모 인명 및 재산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다”며 전기차 화재 안전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배터리 열폭주 진압 어려운데, 특수 장비 현황까지 부실


 전기차 화재의 가장 큰 요인은 배터리 열폭주다. 여기서 열폭주란 전기차 내부의 배터리 팩이 손상되면서 내부 온도가 순식간에 1,000℃까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액상 상태인 리튬이온 배터리가 전기차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데, 해당 배터리는 과도한 충전 또는 물리적 손상 등 다양한 화학적 변화로 인한 화재의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이렇게 발생한 화재는 장시간 지속돼 물로 진압하기 어려워 특수 화재 진압 장비가 필수다.


 하지만 전국 전기차 화재 진압 장비는 전기차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화재 진압을 위해서는 △차량 하부에 물을 뿌리는 ‘관창’ △산소 공급을 차단하는 ‘질식소화 덮개’ △차량을 수조에 넣는 ‘이동식 수조’ 등 여러 특수 장비가 마련돼야 한다. 그러나 지난 6월 국토교통부와 소방청이 조사한 전국 전기차 누적 등록 상위 지역 통계를 토대로 본지가 장비 1대당 전기차 등록 수를 집계해 본 결과 △경기 281대 △서울 1,075대 △제주 1,343대 등으로 나타났고 전기차가 많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장비가 현저히 부족한 지역이 다분했다.


원활한 전기차 확대 첫걸음은 화재 안전 관리부터


 전기차 화재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가 커지면서 전기차 화재 관련 규정의 필요성이 두드러지고 있지만 전기차 관련 법률인 ‘친환경자동차법’에는 안전 설비에 관한 규정이 마련돼 있지 않은 것이 확인됐다. 이에 현 지자체나 지역별 소방본부가 자체적으로 나서 전기차 화재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실제 일부 소방본부는 밀폐된 공간인 지하 주차장 전기차 충전의 위험성을 고려해 전기차 충전시설을 지상으로 설치하도록 권고했고, 지자체는 보조금 지급과 안전 관련 조례 개정에 몰두하고 있다. 그러나 그저 권고 수준에 불가한 조치라는 이유로 제대로 지켜지고 있지 않으며, 섣부른 안전조치는 전기차 보급 측면에 악재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15일 환경부는 전기차 국비보조금을 오는 연말까지 늘리는 등 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이에 전기차 관련 안전 규정부터 체계적으로 살펴본 이후에 보급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정부가 △전기차 사전 점검 강화 △전기차 화재 진압 장비 지원 △전기차 충전시설에 대한 관리 감독 등의 체계적인 구조를 통해 전기차 안정 확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며 신속한 대응책을 촉구했다.


 친환경 사회로 나아가자는 정부의 전기차 보급 취지는 매우 긍정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원활한 보급에 앞서 전기차 안전 관리 강화방안 및 특수 장비 지원 등의 마련으로 전기차를 둘러싼 불안함부터 지워야 하는 것은 아닐까.

 

정서희 기자 Ι seohee0960@kyonggi.ac.kr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