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
다툼의 시대, 시비 분별을 넘어서는 지혜
나라가 안팎으로 어수선하다. 자고 일어나면 소란스러운 다툼이 작은 것에서부터 큰 것에 이르기까지 쉴 사이가 없다. 저마다 주장을 하면서 나는 옳은데 왜 너는 그른가, 자기는 타당한데 남은 왜 부당한가 주장하는 일이 혼탁한 시비의 세상을 만들고 있다. 상극이 극에 달하고 상생의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우리의 입과 귀를 살펴서 선...
-
메타버스, 제2의 디지털 혁명이 일어나다
21세기에 일어나는 혁명이 자못 심각하다. 디지털 혁명은 우리에게 점차로 현실 속에 파고들어서 생활의 일부가 되어가고 있다. 코로나로 지쳐 있는 일상에 우리에게 새로운 디지털혁명이 밀어닥치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메타버스(Metaverse)이다. 메타버스는 메타 유니버스(meta universe)의 약어이다. 유니버스는 현실 세계이며, 메타는 초월의...
-
부처님이 사바세계에 오신 참뜻을 되새기며
코로나의 시절인연이 험난하게 전개되는 시국에 부처님이 이 누리에 오신지 이제 2565년이 되었다. 부처는 서원을 세웠다. 아버지 정반왕이 태자가 칠보로 꾸민 대궐에서 많은 아들을 데리고 천하를 다스리는 것이 정반왕의 뜻이었던 것과 자못 다른 것이다. 아들 실달태자는 정각을 이루어 대천세계를 밝게 하는 것이 실달태자의 뜻이라고 ...
-
거대한 문명의 전환이 일어나야 한다
세 가지 현상을 주목하자. 디지털 플랫폼이 마련되면서 세계가 더욱 가까워졌다. 이뿐만 아니라, 이제 이 만능의 저장창고로 말미암아 인간은 지식의 부담을 덜고, 이제 어떠한 자료이든 그 세상에서 다 구할 수 있게 되었다. 기억의 저장 장치로 인간의 뇌를 활용하는 부담을 덜게 되었다. 그것은 상당한 축복이며, 새로운 진전을 꾀할 수 ...
-
전통학문의 혁신적 인식과 학문의 총괄
전통학문은 개명한 이 시대에 이제 거의 필요 없는 것처럼 말하는데 이는 단견이다. 전통학문 가운데 어떠한 것을 계승하는가에 전통학문 혁신의 향배가 달려 있다. 전통학문과 외래학문을 대립적으로 인식하거나 지양하려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 전통학문의 정수를 잇고 전통학문의 핵심을 승계하면서 혁신해야 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할 ...
-
육안과 심안의 학문
학문의 성패는 간결하면서도 근본적인 것을 찾아 논하는 것에 첩경이 있게 마련이다. 그것이 학문을 할 수 있는 비결이다. 간혹 ‘학문은 멀리 있고, 아득한 경지를 말하는 것’이라고 말하는데, 이에 동의할 수 없다. 그저 우리가 사는 나날의 삶이 학문적인 것의 대상이 된다. 있는 것을 찾지 않고, 있지 않는 것을 찾는 것은 어리석은 일...
-
한류의 근거, 전통 속에 살아 숨 쉰다
디지털 플랫폼이 언택트 시대에 각광을 받고 있다. 일상을 파괴한 질병의 시대가 일상을 새롭게 설정하고, 새로운 일상을 창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변화는 상상을 초월하는 것이다. 특히 우리의 전통적인 대중음악은 물론하고 전통음악을 되돌아보게 한다. 구체적 예증으로 우리는 이날치밴드의 를 꼽을 수 있다. 이미 뷰어가 5억 이상...
-
인공지능시대의 혁신과 창조적 대응
숨이 가쁜 창조가 나날이 세계 전체에서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조용한 혁신과 진전이 끝이 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이 시대 이후인 2050년에 100억 명의 지구촌 식구가 생길 것으로 보이는데, 그들이 미래에 직면하는 기술력의 파급 효과는 더욱 증대될 전망이다. 장차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
-
차등론・평등론・대등론의 변혁적 전망
남의 사상을 죽도록 사랑하여 따라쟁이와 같이 남의 사상을 시늉하며 모방하는 소모적인 서양 사상 추수주의자와 서양이 옳다고 하는 비평가들이 너무나 많다. 그들 사상에 대한 비판적 대안이나 창조적 반론은 전개하지 않고, 무턱대고 유행을 타는 풍조가 심각하다. 그 흐름이 어제 오늘 일이 아니어서 한국은 그러한 사상 수입국이자 ...
-
서양 우월주의의 몰락과 동양적 가치의 재발견
‘서양’은 서구와 미국을 합친 말로 대략 2세기에 걸쳐서 세계 질서를 주도해왔다. 19세기 산업혁명의 성과를 등에 업고 세계 식민지배 주의를 양성하였던 것에서부터 대서양 중심 문화가 제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소연방의 해체와 냉전 종식을 가져왔다. 또한 미국이 세계의 입법자와 경찰을 자처하며 글로벌 리더 노릇을 하게 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