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
허니문(Honeymoon)과 비터문(Bittermoon)의 운이(運夷) 원리
사람과 사람, 남성과 여성이 만나서 서로 가까워지고 혼인을 하는 것이 생멸의 깊은 이치가 된다. 허니문이 비터문이고, 비터문이 허니문이라고 하는 역설을 예거한다. 밀월관계는 영원할 수 있는가, 형극관계 역시 영원할 수 있는가? 둘은 서로 긴밀하게 관련되는 것이다. 밀월이 형극이고, 형극이 밀월이다. 관계는 항상 오고가면서 새로...
-
빛에 다가갈수록 어둠이 깊어진다
대통령이 바뀌었다. 장차 무슨 일이 있을지 갈라진 우리나라의 민심은 과연 어떻게 반응할지 아무 것도 예견되지 않는다. 다만 이 혼란한 정국은 여전히 안개 속이다. 달이 차고 기울 듯이 오직 무상한 천체의 움직임은 지속된다. 하루하루 성실하게 살고자 하는 이들에게 희망이나 여망이 마르지 않게 하길 바랄 따름이다. 이러함에도 불구...
-
우리를 깨우치는 말과 글
슬프다! 세상이 미망에 빠진지 아주 오래되었다. 학문을 한다며 남의 이야기만 한지 너무나 오래되었다. 자신의 말을 하지 않고, 자신의 학문을 하지 않고, 구구절절이 남의 것을 자신의 것으로 착각하고, 조목조목이 남의 학문을 지절거리고 있어온 지 사뭇 오래되었다. 별안간 방송에서 소스라치게 깨우치는 말을 들었다. 나 자신의 학문...
-
봄을 찾아서, 심춘(尋春)놀이
봄이 멀게 느껴지지만 이미 동지부터 새로운 시작이 이루어졌다. 하나의 양이 비롯되었으며(一陽始生), 그 질서는 무너지지 않는다. 무심한 천지는 자신의 운행을 멈추지 않는다. 우주의 무한 반복이 요점이다. 동지가 되면, 땅 속의 나무뿌리를 캐보면 새로운 싹이 난다고 하지 않던가? 그러하기에 예전 사람들은 동지를 한 해의 시작으로 ...
-
자연학문과 인문학문의 조화와 갈등
자연학문은 자연과학으로 널리 알려져 그 위세가 대단하다. 이에 대한 편견을 버리기 위해서 자연학문으로 용어를 고정하고, 학문의 한 분야임을 분명하게 하고자 한다. 자연학문은 자연의 현상을 관찰하고 그것을 법칙으로 설정하고 추론하면서 예증을 삼는 학문이다. 구체적인 예증이 필요하므로 이를 자연학문의 예증을 둘로 삼는다. ...
-
사회학문의 문제와 대안 모색
사회학문은 인간이 구축한 사회적 현상과 사상(事象)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사회적 현상을 진단하고 예측하면서 새로운 학문을 향한 방법론이 수립이 있는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사회적 현상의 예측이나 경향을 파악하려고 많이 동원하는 학문적 방법이 설문이나 설정에 의한 통계나 통계에 의한 확률을 논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
-
인문학문의 사명과 방법
인문학문을 쉽게 생각하는 풍조가 만연하다. 그저 아무렇게나 하면 된다고 하는 생각이 팽배하다. 과연 그런지 진지하게 반성할 필요가 있다. 인문학문하는 사람이 자초한 면도 있고, 인문학문을 이해하지 못하는 망발과 발상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 양면을 인정하는 것으로 인문학문의 적극성을 강조하는 태도는 방편에 지나지 않는다. ...
-
이 시대에 요구되는 것은 창조력이다
우리에게 한 때 모든 것을 스스로 만들어 쓰던 시대가 있었다. 스스로 옷을 지어입고, 밥을 짓고, 집을 지으면서 살았다. 그 시대는 누구나 스스로의 창조력을 자랑하였다. 의식주의 생활용구를 만들어서 이를 활용하고 살아가던 능력을 발휘하던 시대였다. 김장을 담그고, 술을 빚어서 자신의 자랑거리를 내세우고 입맛을 내고, 집안의 가...
-
천화동인과 화천대유
은 주나라에서 사용하였던 점서이다. 하나라와 은나라에도 점서가 있어서 여러 용도로 쓰인 전례가 있었다. 주나라의 점서는 공자가 본디의 괘사와 효사에 일정하게 원리를 발견하고 부여하고 정리하여 십익(十翼)이라고 하는 주석을 더해서 경전의 반열에 올리고, 그것이 동아시아문명권에서 수천 년의 주석과 해석을 덧붙이면서 새로운...
-
디지털시대 기계 언어의 보편성과 문제
디지털시대 기계언어의 보편성이 확고하여졌다. 세계의 보편언어라고 부를 만큼 이제 인류에게 기계언어인 프로그래밍언어가 궁극적인 것이 될 전망이다. 이 언어의 등장은 새로운 시대의 언어로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며, 특정 전공의 언어에서 인류 보편언어로 그 활용 범위와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다. 게가다 인공지능이 대세를 이루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