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칼럼
-
“대학교도 중대재해처벌에 대비해야 한다”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처법)은 2022년 01월 27일부터 시행되었으며, 특히 중대재해는 대학의 시설물 혹은 시설물을 사용하는 도중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대학교도 이를 잘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학은 중대시민재해처벌대상에서는 제외됐지만 중대 산업재해 처벌대상에는 포함된다. 대학의 실험실 사고, 대학내 공사 현장에서 발생...
-
다 학제적 신기술융합디자인 교육의 방향
김경배(한류문화대학원 K-캘리그라피학과) 교수 패러다임과 산업 구조 변화에 따른 교육의 변화의 필요성 4차 산업시대가 도래하면서 환경변화의속도가 빨라지고, 기존 산업의 경계를 완전히 허무는 초연결사회의 등장으로 기술융합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관통하는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실제로 로봇, 모빌리티, IoT, AI, AR/VR 빅데이터 등 ...
-
디자인, 어디까지 가능할까?
추진기(시각정보디자인전공) 교수 세상을 아름답게 디자인해야 한다는 사회적 대 명제 속 우리는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다. 우리 삶에 있어 디자인은 불가분의 존재가 되어버렸고, 각종 디자인의 홍수 속에 살아가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우리는 ‘디자인(Design)’이란 단어를 들으면 무엇을 떠올리는가? 아마 대부분 공산...
-
‘Y2K 패션’, 엄마옷을 힙하게 입자!
안상희(교양학부) 교수 요즘 대학가에서는 1990년대 후반의 젊은이들의 패션을 그대로 재현한 듯한 룩(Y2K 패션)을 많이 볼 수 있다. 세기말 패션이라고 불리는 ‘Y2K 패션’이 20년이 지나 다시 유행 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Y2K는 Year의 Y와 1000을 뜻하는 Kilo에서 K를 따서 만들어진 합성어로 2000년대를 일컫는 말이다. 작년부터 명품 ...
-
실내 공기질 확보를 위한 환기의 필요성
최영진(건축공학과) 교수 중국의 고도성장 시기에 미세먼지 문제 등으로 촉발된 공기질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전 세계적인 팬데믹을 초래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발생으로 급상승하였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감염자의 호흡기 침방울(비말), 표면접촉, 공기 등을 통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의 감염은 밀접 접촉(주로 2m 이...
-
예술가의 현실인식
성인근(Fine Arts학부 서예전공) 조교수 노무현 정부 초기인 2003년. 덕수궁 미술관에서는 당대 한국과 중국 문인서 화가의 거장 장우성(張遇聖)과 리커란(李可染)의 2인전이 열렸다. 당시 리커란은 이미 돌아가신 후였고, 장우성은 92세의 노경이었다. 그러나 두 분 모두 한국과 중국이 겼었던 격동의 현대사를 교수이자 화가의 신분으로 살았다...
-
디지털, 컴퓨터, 인터넷, 메타버스 그리고 chat GPT
신창현(산업디자인전공) 교수 이제는 일상의 흔한 용어가 된 ‘디지털(digital)’에서 ‘디지트(digit)’는 숫자와 손가락, 발가락을 의미한다. 여러 문명에서 오래전부터 공통되게 십진수를 사용했던 이유는 사람의 손가락이 10개이기 때문인데, 농업혁명으로 늘어난 잉여생산을 손가락만으로는 셀 수 없었기에 수학이 발전하게 ...
-
정책을 디자인하다, 서비스디자인
박윤성(디자인비즈학부) 교수 현대 사회는 고령화 시대 진입 및 1인 가구 증가로 인한 고독사, 저출산, 환경오염, 기후변화 등의 다양한 종류의 사회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일상생활 속 수많은 문제 상황에 직면하며 살아가고 있다. 해결이 필요한 지역 사회 공공 이슈들은 기존의 정책 공급자 위주의 사고와 단편적인 전문지식만으로는 ...
-
K-스토리텔링: 세계를 사로잡는 예술 형식
박윤성(디자인비즈학부) 교수 우리는 한국 콘텐츠, 즉 K-콘텐츠가 다양한 OTT 서비스를 통해 전 세계를 장악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K-팝, K-드라마, K-영화, K-게임에 이르기까지 K-콘텐츠는 국경과 언어를 초월한 글로벌 현상이 되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 ‘BTS’, 영화 ‘기생충’, ‘오징어 게임’ 등 대표...
-
잘 팔리는 제품의 비밀! 컬러 기호학
원세화(시각정보디자인) 교수 화사한 봄 4월, 어떤 컬러의 옷을 살까? 독일 언어학자 테오 반 레이우엔(Theo van Leeuwen)이 그의 저서 컬러의 언어(The Language of Colour)에서 세상은 점점 더 컬러풀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트렌드를 반영하듯 점점 다양해져가는 매장에 진열된 옷들을 보면서 내추럴 베이지? 시크 그레이? 어떤 컬러를 구입해야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