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보조] 답답함 벗어던지고 축제 속으로
마스크를 벗는다? 2년 동안 우리를 힘들게 했던 거리 두기가 지난달 18일 해제됐다. 이와 동시에 식당과 술집 등에 적용됐던 영업시간 12시 제한도 사라지게 됐다. 또한 △사적 모임 △행사 △집회 △종교활동 인원 제한도 사라졌다. 취식의 제한 또한 사라지면서 영화관에서 팝콘을 먹을 수 있게 됐고 종교시설 내부에서도 취식이 가능해졌다...
2022-09-02 정현우
-
[책] 천재 수학자와 천재 물리학자의 두뇌싸움
이 책의 저자 히가시노 게이고는 일본을 대표하는 소설 작가이자 최고의 베스트셀러 작가이다. 그의 특이점은 소설가이면서 엔지니어라는 점이다. 그는 오사카의 부립대학에서 전기공학과를 졸업해 엔지니어로 활동했다. 취미로 시작한 소설 쓰기가 점점 좋아지며 결국 작가의 길로 들어서게 됐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1985년 ‘방과 후&rs...
2022-09-02 정현우
-
[네컷만화] 배달비
2022-05-24 박선우
-
[학술] 골디락스, 완벽함이란 적당함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 금발머리 소녀 골디락스는 숲속을 헤매다 빈 오두막을 발견한다. 오두막에 들어간 그녀는 식탁 위 오트밀 세 그릇을 발견하는데, 첫 번째 그릇과 두 번째 그릇의 스프는 각각 너무 뜨겁거나 차가웠다. 반면 세 번째 그릇의 스프는 딱 적당한 온도였고, 그녀는 세 번째 그릇을 비운다. 이후에도 그녀는 3개의 의자 가운...
2022-05-24 박선우
-
[취재기획] 제11대 총장선출방안, 총장후보자선출위원회로
이사회의 총장 선출 방안에 대한 본교 구성원 의견 청취 지난달 29일 본교 이사회는 구성원 간담회 의견을 종합해 총장후보자추천위원회를 구성, 간선제 선출 방식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고 밝혔다. △교원 △직원 △학생 △동문 △이사로 구성되는 다섯 그룹의 대표 참여를 보장하고 총장후보자 추천 위원은 25~30명 이내로 확대 하는 안을 ...
2022-05-24 박선우
-
인류의 미래, 신화에서 길을 찾자^^
디지털 플랫폼이 인간의 도구가 되면서 인류는 이제 인류의 보편언어를 가지게 되었다. 저마다 다른 언어를 쓰는 인간이 하나의 단일한 체계에 묶이게 된 셈이다. 이 언어의 위대함은 코로나시대가 되면서 더욱 강고하고 완강하게 증명되었다. 이제 온전한 기계의 언어로 된 공고한 체계를 가지게 되면서 더 이상 디지털로 축적된 정보가 ...
2022-05-16 편집국
-
4월의 나무와 5월의 햇살, 그리고 상흔의 이미지
박영택(파인아츠 학부교수) 시간과 죽음을 이길 수 없었던 인간은 이미지를 통해 위안을 얻고 시간과 죽음에 저항하고 견뎌내고자 했다. 바슐라르는 “죽음은 무엇보다도 이미지이고 또 이미지로 산다”라고 말했다. 구석기 시대 동굴벽화에서부터 이집트의 고분, 로마시대의 석관과 르네상스시대의 초상화, 17세가 네덜란드의 정물...
2022-05-16 편집국
-
[사회보조] 뒤틀린 배달 산업 구조, 지금 필요한 건 실효성 있는 정책
Q. △대행업체 △배달 노동자(라이더) △플랫폼 사용자(자영업자) 사이의 사업 구조, 그리고 그러한 구조에서 오는 특징이나 문제점이 궁금하다 배달 대행업체의 수익·사업 구조는 팬데믹 이후 요식업에 종사하는 자영업자들이 직접 라이더를 고용하는 방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배달 플랫폼 기업, 배달 대행업체가 서서히 등장하...
2022-05-16 김도욱
-
[문화더하기] 소비자가 주체가 되는 세상
팬슈머란? 팬슈머란 팬(Fan)과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로 단순히 제품을 소비하는 단계를 넘어 사업 전반에 직접 관여하는 가장 적극적인 소비자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팬슈머는 지난 2020년,이미 '트렌드 코리아 2020'에서 소개되기도 했다. 트렌드 코리아는 해마다 10개의 트렌드 키워드를 예측하여 발표하는 서울대학교 소비자 트렌드 ...
2022-05-16 이수민
-
[사회보조] 재원 수급부터 청년 취업까지, 차기 정부가 해결해야 할 난제
Q. 차기 정부의 공약·행보 등에 있어 현 정부와의 주요한 차이점에 무엇이 있는지 말해 달라 큰 차이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번 대선에선 두 후보가 거의 반반을 가지고 대립했다. 이 상황에서 몇 안 되는 중도표만으로도 당락이 좌우될 수 있기에, 상대방이나 중도의 사람을 어느 정도 끌어올 수 있는 공약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번 두 후...
2022-05-16 김도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