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여행보고서] 종로에서 시간의 길을 걷다
기자의 여행 포인트 1 : 광화문 광장 광화문역에 도착해 가장 먼저 방문한 곳은 광화문 광장이었다. 도심 한복판에 자리한 광화문을 중심으로 △경복궁 △세종대왕 동상 △이순신 장군 동상과 같은 다양한 문화 시설을 관람할 수 있었다. 광화문 광장에는 한복을 차려입고 우리나라의 역사를 즐기거나 휴식을 즐기고 있는 관광객들이 많았다...
-
[방구석시사회] 피하지 못한 마음과 번져버린 사랑
●평점 세은: 2.5/5 신선한 소재에 비해 답답한 스토리한슬: 3/5 사랑도 결말도 흐지부지지효: 3/5 뻔하고 예상 가능한 흐름●한 줄 평 세은: ‘사랑’이라는 바이러스에 감염돼 살아가는 우리들 한슬: 사랑과 감기는 숨길 수도, 피할 수도 없나보다 지효: 사랑을 비롯한 모든 감정이 참 어려운 것 같다 Q. 영화 속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장...
-
[자취인의 밥상] 돈은 없지만 생일은 챙겨주고 싶어
케이크의 달콤한 역사를 따라 누군가의 생일이 다가오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케이크를 떠올린다. 초가 꽂힌 케이크를 가운데 두고 생일 노래를 부르며 웃던 장면은 행복한 생일의 추억 중 하나일지도 모른다. 기자도 어릴 적 생일이 되면 케이크의 촛불에 간절한 마음을 담아 불면 무조건 소원이 이뤄진다는 말을 믿으며 몇 달전부터 무엇...
-
[이날의 History] 당신의 폐는 안녕한가요?
나라에서 허락한 유일한 마약 최근 10년간 내리막길을 걷던 흡연율이 다시 오르기 시작했다. 지난해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제9기 2차년도(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남성의 흡연율은 2014년 43.2%에서 2022년 30.0%까지 감소했다. 하지만 지난해 흡연율을 살펴보면 32.4%로 전년 대비 2.4%p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비단 남성의...
-
[문화보조] 말하지 않아도 모두 나를 알아봐
김세은 기자 seeun2281@kyonggi.ac.kr 신기해요┃시설이 좋아요┃초보자에게도 적합해요평소 기자는 향수 특유의 달콤함과 자극적인 향 때문에 멀미를 느끼곤 했다. 그래서 시중에 파는 향수는 대부분 진하고 기자에게 맞는 향이 없다고 느끼기 일쑤였다. 그러니 자연스레 향수를 잘 사지 않게 됐다. 그래도 이번에 직접 향수를 만들어 볼 수 있는 ...
-
[문화메인]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 네 향수 향이 느껴진 거야
시간을 걷는 향기 향은 꽃, 향수 따위에서 느낄 수 있는 좋은 냄새를 뜻한다. 하루에도 몇 번씩 코끝을 스치는 향은 삶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다. 우리는 특정 향을 맡으면 과거의 추억이나 감정을 떠올리곤 한다. 우연히 길에서 전 연인의 향수 냄새를 맡아 그 사람과의 기억을 떠올리는 등이 그 예다. 이는 ‘프루...
-
[영화] 한계를 뛰어넘는 도전의 끝과 무대의 시작
‘경연’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장면이 떠오르는가? 무대 위에 선 사람들의 긴장된 표정과 관중의 환호 소리가 머릿속에 가득 퍼질 것이다. 이러한 무대의 떨림과 설렘 속에서 꿈을 좇는 동물들의 이야기를 유쾌하게 풀어낸 영화가 있다. 바로 뮤지컬 애니메이션 이다. 영화의 주인공인 코알라 ‘버스트 문’ 사장은 한때 ...
-
[JOB지식] 일본어 하나로 외국계 기업 취업까지
Q. 현재 수행 중인 직무와 본인 소개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2014년에 졸업해 현재 ‘㈜스크린에스피이코리아’ 총무·IT팀에서 근무하고 있는 09학번 일어일문학과 유도경이라고 합니다. ㈜스크린에스피이코리아는 국내에 위치한 일본계 반도체 세정 장비 판매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회사로 △일본 주재원의 업...
-
[책] 본성의 민낯을 간결하게
어떠한 쾌감은 공포의 대상이 만들어낸 불쾌에서 전이돼 발생한다. 이는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가 에서 설명한 ‘숭고’로, 대상을 표상할 수 없을 때 발생하는 부정의 감정에 존경심이 포함된 정서다. 예를 들어 너무나 모순적이며 복합적인 인간이라는 존재가 얼마나 추악한지를 정의할 수 없음에 숭고를 느끼곤 한다. 현실의...
-
[문화더하기] 드르륵 한 번에 설렘 한 스푼
요리 보고 저리 봐도 알 수 없는 너의 정체 레버를 돌리면 ‘짠’하고 나타나는 캡슐. 흔히 아는 ‘뽑기’와 같은 ‘가챠’는 작은 기계에서 나는 금속음이나 시끄럽게 떠드는 소리를 뜻하는 일본어 의성어 ‘가챠 가챠(がちゃがちゃ)’에서 온 말이다. 일본어에서 비롯된 만큼 일본을 기원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