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경직된 사고의 틀을 깨라”
  • 편집국
  • 등록 2017-10-11 17:29:12
  • 수정 2017-10-11 17:30:33
기사수정
  • 디자인분야 공모전 실전 도전전략

 

  디자인 공모전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해당 디자인 분야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가구 디자인의 경우 가구에 대한 정보가 필 요하고 타이어 디자인의 경우 타이어에 대한 이해가 필수다. 일반적으로 디자인 공모전에서 공통적인 요구는 주제나 제품 에 대한 이해, 실용화 가치, 디자인 완성도, 신선한 아이디어다. 이중에 핵심 심사키워드는 독창성, 심플함, 실용성이다. “기존 의 개념을 버리고 실험적인 작품인가?” 이 체크포인트에 심사 비중이 높다. 그러니 처음부터 경직된 사고의 틀을 벗어던져 라. 디자인 공모전 심사위원들은 대부분 “아이디어의 독창성, 기존 개념을 벗어난 새로운 감각, 조화, 간결성 등을 주목했 다”고 밝히고 있다. 그만큼 톡톡 튀는 아이디어들이 디자인 속 에 배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디자인 공모전 도전자들이 고민해야 할 첫 번째 과제는 기존의 관련 제품 디자인 현황(기존 제품 기술적 특성, 주최사의 브랜드 전반의 디자인 방향과 특성, 소비자 디 자인 선호 예측분석) 위에 혁신적인 발상을 더하는 것이다.

 

이제 실전 연습으로 ‘욕실용품 디자인공모전’에 한 번 도전해 보 자. 아이디어 발상 요령은 ‘창조과정의 패턴’ 모형을 A4용지에 그 리면 된다. 먼저 세 면을 분리한 뒤 ‘새롭고 혁신적인 욕실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새로운 트렌드의 욕실용품 디자인 아이디어의 무대’를 아 래 칸에 정리해 놓는다.

 

                                           [ 욕실용품 디자인 창조의 패턴원리 ]


  왼쪽 면에 우리가 수집할 수 있는 정보나 기존의 욕실의 특징 과 요소들을 정리해 두자. 그 다음엔 우측 면 ‘?’에 어떤 키워드를 넣으면 왼쪽 면과 두근 두근 반응하고 착상 될지를 고민해 보면 된다.

 

                                           [ 욕실용품 디자인 창조의 패턴원리 ]


   예를 들어 위와 같이 오른쪽 면에 다양한 키워드를 대입해 봤 다고 생각해 보자. 그럼 창조과정의 패턴원리에 따라 욕실용품 디자인 콘셉트가 즉각 떠오른다. 창조과정의 패턴 원리를 적용해 우측면에 뭔가 새로운 요소를 대입하면서 두근두근 새로운 조합 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해바라기 꽃처럼 생긴 샤워기에서 해바라기씨가 떨어지듯 물 이 떨어지고, 세면대의 수도는 나뭇잎 모양으로 이슬방울이 떨어 지는 듯 한 디자인일 수 있고, 변기는 비둘기 둥지가 되고 뻐꾸기 둥지 디자인 속에는 새소리와 숲 속 향기가 나오는 상상을 할 수 있다.

  우측면에 새로운 키워드를 대입해 나가되, 최대한 서로 연관성 이 없는 키워드를 조합해 나가다보면 창조적인 디자인 콘셉트가 분명 떠오를 것이다.

  “우리 식구가 꽃을 좋아하면 욕실제품을 작동시키면 점점 전 면 디자인에 꽃이 활짝 피어난다든지”, “바다를 좋아하면 점점 많 은 물고기들이 전면에 바다 속처럼 돌아다니게 한다든지” 우측면에 어떤 키워드를 넣느냐에 디자인 아이디어는 무궁무진해진다.

 

   디자인들은 모두 이런 패턴을 거쳐 창조되었다. 실제로 코카콜 라 병은 콜라병과 ‘코코넛 열매’의 모양이 만나 만들어진 적이 있 었고, 현재 콜라병 모양은 공모전 출품자가 ‘주름치마를 입고 나 온 여자 친구’를 보는 순간 두근두근 반응하여 디자인된 공모전 수상작이다.

   한 유명 디자이너는 전통주 병을 경주에 있는 ‘첨성대’의 이미 지와 조합하여 디자인했으며, 지렛대원리를 이용해 쉽게 뽑을 수 있는 콘센트 유니버설디자인은 ‘압정 뽑는 기구’의 원리와 조합해 만들어졌다.

   공모전은 특별한 것을 원한다. 그래서 새로운 조합을 만들기 위해 우리는 끊임없이 질문해야 한다.

 

■왜 디자인이 꼭 이래야만 하지?

■왜 소비자는 이런 것만 선호한다고 생각하지?

■왜 모양이 대부분 이런 형태가 돼야 하지?

■왜 고급과 현대성을 그런 식으로만 표현해야 하지?

■왜 이 기능을 처리하기 위해 이런 모양과 디자인을 할 수 없는 걸까?

■왜 같은 제품이라도 이 집 저 집 똑같은 디자인만 있어야 하지?

■왜 크기, 형태, 위치를 다르게 하면 안 될까?


   결국 새로운 창조는 어떤 무대에 서로 다른 요소가 만나 두근 두근 조합되고 착상을 거친 창조과정의 패턴을 따라야 한다. 디 자인이 창조되는 과정인 △무늬 △형태 △기능 △성능 △재료 등 에서 새로운 요소가 가미돼 섞이고 이것이 새로운 형태로 드러날 때 바로 독창적인 디자인이 된다.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