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학술] 꿈이 이뤄지는 마법의 주문, 네카라쿠배당토
  • 김태규 기자
  • 등록 2024-03-04 10:30:42
기사수정
  • 꽁꽁 얼었던 취업 시장에도 여전히 ‘광풍’
‘네카라쿠배당토’, 어딘가 마법의 주문 같이 들리는 이 단어. 이는 대한민국 대표 빅테크 기업들을 한 데 묶어 부르는 말이다. 본지는 빅테크의 역사를 통해 신생 IT 기업이 어떻게 토종 기업을 제치고 업계 우위를 점하게 됐는지 자세히 분석해봤다.

꿈의 직장된 ‘네카라쿠배당토’


 ‘네카라쿠배당토’는 △네이버 △카카오 △라인 △쿠팡 △배달의민족 △당근 △토스의 준말로 오늘날 기초 영단어에 맞먹을 만큼 취준에 있어 상식으로 통한다. △삼성 △현대자동차 △LG 등과 같은 대기업에 취직하는 것이 성공의 척도라는 말도 이제는 옛말이 됐다. 변화하는 가치관과 기술이 우리 사회의 기조를 바꾸고 있기 때문이다. △수평적인 기업 문화 △수월한 이직 가능 △지속해서 상승하는 금전적 보상을 보장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사옥이 대체로 △강남 △마곡 △상암 △판교 등의 수도권에 몰려있다 보니 수도권 등지에 거주하는 취준생들에게 ‘네카라쿠배당토’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직장으로 꼽히고 있다.


물 들어올 때 노가 아니라 모터를 달았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떻게 이토록 단시간에 폭풍 성장할 수 있었을까. 비법은 바로 ‘빅테크’의 성장 역사에 있다. ‘빅테크’란 첨단 기술과 플랫폼 서비스 등을 기반으로 온라인상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IT 기업을 말한다. 빅테크 기업은 2000년대 이후, 급속도로 성장한 온라인 시장에 뛰어들어 자사의 기술을 활용해 빅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해 규모를 키워나갔다. 특히 시기에 따라 호황과 침체의 변동성이 큰 △자동차 △정유 △화학 등의 시장과 달리 빅테크 기업들은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큰 폭의 매출 상승을 기록했다. 이에 화답하듯 IT 기업들은 성과급을 펑펑 터뜨렸고 현재 주식 시장에서는 일찌감치 기성 기업을 밀어내며 시가 총액 선두를 달리고 있다.


 또한 이들의 성장 비결은 토종 기업들과는 다른 조직 문화에 있다.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워라밸’, 유동적인 근무 시간 등 트렌드에 맞는 조직 문화를 토종 기업들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정착시키며 취업 시장의 이점마저 취했다는 것이 핵심이다. 대표적인 예로 네이버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자유롭고 탄력적으로 일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워크’ 제도의 정착에 힘쓰고 있다. 빅테크 기업에서 처음 시작된 변화는 현재 국내 업무 문화 전반을 더욱 선진적이고 효율적으로 개선해 토종 기업들도 점차 이들의 운영 방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독과점 막기 vs 혁신 죽이기


 그러나 압도적인 자본력과 기술력으로 인해 어느새 빅테크 기업은 시장의 지배자로 군림했고 더불어 규제 사각지대에 위치했던 이들을 둘러싼 문제는 화수분처럼 터져나왔다. 무분별한 사업확장을 하거나 신생 기업들을 마구잡이식으로 인수 합병해 독점 운영권을 확보하려던 것이 그 대표적인 예다. 이에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 등 대형 체제의 핵심 주류도 빅테크 기업 규제에 열을 올리며 상황은 더욱 흥미롭게 흘러가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빅테크 기업들의 과도한 데이터 트래픽 유발을 지적하며 망 사용료 부과 문제를 두고 논의를 이어나가는 중이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는 빅테크 기업을 겨냥한 추가 감시망을 공개하며,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둔 거대 기업들의 독과점 규제를 위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지만 업계에서는 “혁신성장이 필요한 시점에서 시장이 지나치게 위축될 수 있다”는 반발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국내 빅테크 업계는 토종기업에 비해 새로운 혁신의 바람으로 성장했고 더불어 경직돼 있던 사내 문화를 전환시키는데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현재 빅테크 기업들을 두고 ‘자본과 기술을 바탕으로 끝없이 탑을 쌓는 바벨탑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며 씁쓸하다는 반응이 많다. 그동안의 독점 규제가 소비자의 혜택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플랫폼에 새롭게 진출했거나 진출을 준비하는 기업, 더 나아가 사회 전반에 도움이 되는 규제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김태규 기자 Ι taekue@kyonggi.ac.kr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