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구조조정 유연화’는 안 된다
  • 한민주 신문편집국 편집국장
  • 등록 2018-05-09 10:16:36
기사수정

 

 사학과로 입학해 전자공학과로 졸업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기존의 전과제도나 복수전공제도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냐고? 아니다. 기존 학과에서 3학기 동안 21학점(전공)만 이수하면 성적 요건 없이 누구나 소속 캠퍼스에 한해서 전공 변경이 가능한 제도가 도입됐다. 바로 2018학년 이후 입학자들을 대상으로 2020학년도부터 시행될 ‘전공선택유연화’다.

 

 지난 2일, 서울캠퍼스 본관 801호에서 전공선택유연화 제도 설명회가 열렸다. 전공선택유연화란 학생역량강화를 목적으로 실행되는 학사유연화 제도로 입학학과에서 일정 학점 조건만을 충족할시 2학년에서 3학년이 올라가는 시점에 자유롭게 전공을 선택·변경할 수 있다. 교육혁신처는 해당 제도가 “4차 산업혁명에 부합하는 창의융합인재를 양성하고 전공 불만족으로 중도 이탈하는 학생의 비율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학과 정원의 10% 범위 내 인원’만을 수용해 특정 인기학과로의 쏠림현상을 방지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원 인원이 10% 이상일 경우, 학과 사정에 따라 선발과정을 거칠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물론 해당 제도가 자유로운 전공 선택의 기회를 제공해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파격적인 시도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필자는 본 제도가 학과 간의 경쟁을 심화시켜 특정 학문 분야를 도태시킬 위험성이 있다고 본다. 수용 인원에 대한 제한만 있을 뿐, 학과 내 빠져나가는 인원에 대한 제한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비인기학과의 정원 10% 이상이 타 학과들로 빠져나갈시 해당 학과는 내부적으로 학생부족에 시달릴 것이다.

 

 또한 본교가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재정지원대학에 선정돼 구조조정이 불가피해질 경우, 이 제도가 오히려 효율적인 정원감축을 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은 아닐지 의문이다. 전공선택의 유연화를 위한 제도가 ‘구조조정 유연화’로 이어져선 안 된다. 전공 간 벽을 허물어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좋지만, 선택받지 못해 소외되는 학과에 관한 대학본부의 구체적이고 추가적인 대책 수립이 절실하다. 한편, 내일 5시 30분 수원캠퍼스 종합강의동 최호준홀에서 전공선택유연화 제도 설명회가 개최된다.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