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사회보조] 장애인·비장애인이 윈윈할 수 있는 사회를 위해
  • 김도욱 기자
  • 등록 2022-09-02 13:44:04
기사수정
  • 단순 일자리 확대가 아닌 전문 인력 양성 인프라 필요
앞서 현존하는 장애인 문제와 이에 따른 인식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다. 본지는 장애인 인식 및 복지, 그리고 관련 문제를 해결할 방안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묻고자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이상진 사무총장과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Q.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에 대한 소개 부탁한다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는 장애인복지관 상호 간의 교류·협력을 강화하고,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전문성 제고를 통해 장애인복지관을 지역사회재활시설의 구심체로 육성·발전시켜 장애인의 사회 참여 및 복지증진 확대를 목적으로 창립됐다.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역량 강화 및 권익 향상, 장애인 당사자 중심의 서비스 지원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Q. 현재 장애인 복지 정책에서 드러나는 주요한 한계·문제점은 무엇인가


 전반적으로 볼 때 장애인 당사자의 욕구를 고려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 지원의 측면에서 많은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올해 장애인 분야 예산은 4조 85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5%(3,897억 원)가량 증가했으나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예산의 규모가 낮은 편으로 장애인과 그 가족의 건강한 자립생활 지원을 위해 예산 확대가 필요하다.


Q. 현 상황에서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위해 가장 필요한 복지 정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장애인의 사회 참여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복지 정책 중 하나가 ‘장애인일자리사업’이다. 「장애인복지법」 제21조 ①항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직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직업지도, 직업능력평가, 직업적응훈련, 취업 알선, 고용 및 취업 후 지도 등 필요한 정책을 강구해야 한다’라고 명시돼 있다.


 이에 따라 장애인에게 일자리 제공을 통한 사회 참여 기회 확대와 소득보장을 지원하는 정책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근로능력이 있는 장애인은 일반사업체를 비롯한 다양한 일자리 분야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근로능력이 낮아 보호고용 등의 지원이 필요한 장애인에게는 근로사업장, 보호작업장 등 직업재활시설에서의 근로활동과 소득 보장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Q.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사회적·개인적 노력의 예시로 어떤 것이 있는가


 사회적 측면의 장애인 인식개선은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의한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과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사회적 인식개선교육’을 대표적인 사례로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장애인복지관 등의 사회복지시설,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 등의 장애인단체에서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사회적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및 보건복지부 장애인 인식개선사업 모두 인식개선 교육 전문 강사를 양성하고 있는데, 장애인단체 종사자들이 해당 과정에 참여해 일반 사업체와 초·중·고 등의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인식개선 활동을 진행하는 것은 개인적 노력의 예시로 볼 수 있다. 종사자가 아니더라도 지하철역 장애 인식 개선 캠페인을 비롯해 공공 및 민간 장애인복지시설·단체나 대학교에서 주최하는 다양한 장애인 인식개선 캠페인에 참여하는 것도 개인적 노력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Q. 고용에 있어 장애인과 기업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을지 묻고 싶다


 중앙부처와 기업의 선도적인 노력과 함께 장애인이 참여하는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중앙부처 차원에서 기업이 요구하는 분야와 관련된 장애인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새로운 분야에 대한 장애인 일자리 창출 방안도 수립하는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수반돼야 한다.


 더불어 기업에서는 다양한 영역의 장애인 고용 사례를 참고해 기업체 내부에서 고용 가능한 직무를 탐색하고 법적 장애인 의무고용률 3.1% 이상을 고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장애인 또한 기업체에서 요구되는 직무 전문성을 구비하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장애인과 기업 모두가 상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장애인 고용 활성화를 위한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김도욱 기자 Ι whiting2427@kyonggi.ac.kr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