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사회메인] 백신, 코로나19 4차 대유행의 해결책이 될 것인가
  • 서지수 기자
  • 등록 2021-08-30 10:16:49
기사수정
  • 86.9% 학생이 백신을 접종할 계획 有
지난 7월, 4차 대유행이 시작됨과 동시에 본격적인 백신 도입으로 지난달부터 청장년층 대상 백신 사전예약과 접종이 진행됐다. 이에 본지는 백신 접종 현황과 함께 본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백신 접종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들어봤다.


본격적으로 시작된 백신 접종


코로나19가 발생한 지 약 1년이 흐른 지난 2월, 백신 도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지난 2월 24일 아스트라제네카(이하 AZ) △지난 3월 26일 화이자 △지난 5월 31일 모더나 △지난 7월 29일 얀센 등이 최초 도입된 이래로 꾸준히 출하가 이뤄져 현재 총 9,900만 명분에 대한 백 신이 확보된 상황이다.

현재 확보된 백신들은 바이러스 벡터 백신과 mRNA 백신으로 구분된다. AZ와 얀센은 바이러스 벡터 백신으로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다 른 바이러스에 투여하는 방식이다. 반면, 모더나와 화이자는 mRNA 백신이다.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RNA 형태로 투여하는 방식으로 제조 돼 바이러스 벡터 백신과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백신들은 코로나19의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심사 시 제출 된 임상시험 자료에 따르면. △AZ는 62% △얀센은 66.1% △모더나는 94.1% △화이자는 95%의 예방효과를 보인 바 있다.


전 국민 백신 접종 계획


백신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정부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을 시작했다. 이에 접종 권장대상을 지정해 순차적으로 대상자를 확대해 나갔다. 우선 중증 및 사망을 예방하고 사회 필수 기능을 유 지하기 위한 백신 접종이 진행됐다. 그 결과 지난 2월 26일부터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과 의료기관 종사자가 백신 을 접종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지난 4월부터 75세 이상, 지난 5월부터 60~74세 고령층을 대상으로 범위가 확대됐 다. 이후 지난 7월부터 50대 중년층 접종이 이뤄졌고, 지난달부터 18~49세 청장년층의 순차 접종 예약이 시작돼 본교 학생들도 백신 예약이 가능해졌다.

이와 동시에 정부는 지난달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 10부제를 시행했다. 백신 사전예약 10부제는 주민등록상 태 어난 날짜와 예약 당일 날짜가 같은 숫자로 끝나는 날에 예약하는 방식이다. 이는 가장 많은 대상자가 포진한 청장 년층의 백신 예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됐다. 그리고 10부제 운영이 종료된 지난달 19일부터는 사전예약에 실패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추가 예약이 이뤄졌다.


백신 접종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

청장년층의 백신 접종이 가능해짐에 따라 본지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백신 접종에 대한 인식 과 접종 현황을 알아봤다. 그 결과 전체 응답자 183명 중 21.9%(40명)의 학생이 1차 접종을, 2.7%(5명)의 학생이 2 차 접종까지 완료했다고 답했다. 김가은(사학·1) 양은 “잔여 백신을 맞았는데, 독감 주사처럼 접종받은 부위만 조금 뻐근했고 다른 곳에 이상은 없었다”고 후기를 전했다. 한편, ‘백신을 접종할 계획 또는 생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는 86.9%(159명)가 ‘네’라고 응답했다. ‘아니오’를 택한 A양은 “다른 백신들에 비해 현저히 짧은 개발과 임상 기간으 로 부작용에 대한 불안이 크다”며 걱정을 표했다.

그리고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보통이다(39.9%) △긍정 적이다(33.3%) △매우 긍정적이다(11.5%) △부정적이다(10.4%) △매우 부정적이다(4.9%) 순으로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다. ‘긍정적이다’를 택한 김종혁(스포츠과학·1) 군은 “부작용을 감수하더라도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사회와 개인 에게 큰 이익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백신 도입과정에서 아쉬움을 느꼈는가’라는 질문 에 70.5%가 아쉬움을 느꼈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학생들은 △대학생의 늦은 접종 시기(45.4%) △백신 종류 선택 불가(33.3%) △신청 방법(19.7%) △잘못된 정보의 유통(15.3%) △번거로운 변경 과정(10.9%) 등을 사유로 꼽았다.


서지수 기자│seojisu0120@kgu.ac.kr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