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눈앞으로 다가온 2018 평창동계올림픽, 그 속 사정은?
  • 고재욱
  • 등록 2017-11-27 11:31:56
기사수정
  • 직무 배치부터 숙소 비용까지, 문제점 속출해
내년 2월이면 전 세계의 사람들이 평창을 주목하게 된다. 총 95개국의 나라가 참가하는 제 23회 평창동계올림픽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2011년 7월 제123차 IOC 총회에서 과반수의 표를 획득해 평창이 동계올림픽 개최도시로 선정된 이후, 정부는 세계적인 행사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최근 동계올림픽 준비 과정 중, 몇 가지 문제점들이 드러나 큰 이슈가 되고 있다.

 


 모두가 주목하는 평창동계올림픽

 우리나라는 1988년 서울올림픽을 시작으로 △2002년 한·일 월드컵 △2010년 F1 그랑프리 △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까지 4번의 커다란 스포츠 행사를 개최해 세계를 놀라게 했다. 더군다나 내년에는 겨울 스포츠 행사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동계올림픽이 △평창 △강릉 △정선에서 열린다. 동계올림픽이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는 행사인 만큼 현재 전 세계의 시선이 우리 나라에 집중돼 있다. 그리고 이 뜨거운 관심과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전국 각지의 자원봉사자들이 평창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돕고 있다.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을 합쳐 총 22,400명이 자원봉사자로 활동하게 되며, 경기장뿐만 아니라 △방송지원시설 △선수촌 △숙박시설 △공항 △기차역 등 다양한 시설에서 선수들과 관람객 들을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개막을 앞두고 막바지 준비가 한창인 요즘, 여기저기서 자원봉사자들의 불만 섞인 목소리가 들리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엉뚱한 직무 배치도 모자라 대기 인원 통보까지

 우선 첫 번째 문제는 지원한 직무에 대한 필수 교육, 언어 테스트 등을 모두 수료하고도 결국 다른 직무에 배치가 된 사례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일례로 외국 학교에 다녀 언어에 자신이 있었던 학생은 특기를 살려 통역 분야에 지원해 해당 분야 자원봉사자의 최종 합격 결과까지 받았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배치된 직무는 특기와 전혀 상관이 없는 ‘승하차 안내’였다. 이외에도 경기 분야에 지원했으나 교통 분야로 배치 받은 사례, 희망 근무 지역과는 전혀 다른 먼 지역으로 배정받은 사례 등이 평창동계올림픽 자원봉사 홈페이지의 Q&A 게시판을 통해 알려졌다.

 

 또 다른 문제는 아직까지 직무 배치조차 받지 못한 자원봉사자들이 있다는 것이다. 현재 자원봉사자들의 숫자는 행사에 필요한 인원보다 훨씬 많은 상태다. 이는 조직위원회에서 애초에 필요 인원의 115%의 인원을 지원 받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직무를 배치 받지 못한 인원들이 발생했는데, 이들은 단순히 대기인원이라는 통보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평창동계올림픽은 내년 2월부터 3주 동안 하는 긴 행사이기에 군 입대, 알바와 같이 개인 스케줄을 미룬 봉사자들이 많았다. 즉, 주최 측의 미흡한 인력 관리로 인해 의도치 않은 3주간의 공백이 발생해버린 것이다. 본부 측에서 대기인원이라는 통보를 받은 본교 학생 노승찬(미디어영 상·2) 군은 “최종합격을 한 상황에서 대기인원이 됐다는 것 자체가 당황스럽다”며 “대기인원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을 교육 받기 전에 안내를 했어야 했는데, 그런 안내조차 받지 못해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자원봉사 대우 이외에도 나타나고 있는 문제들

 평창동계올림픽에서 발견되는 문제는 비단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것만이 아니다. 동계올림픽의 시작과 끝을 함께 할 개·폐회식 장의 시설 문제가 있다. 지난 4일,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올림픽 개·폐회식장에선 개막 100일 전을 기념해 시설물 준공식이 열렸다. 올림픽 개회식 모의 행사를 겸해 펼쳐진 이번 행사에서 가장 큰 문제로 꼽힌 것은 추위였다. 11월 초의 날씨지만 바람이 많이 불어 당시 행사에 참여한 3만여 명의 관중들은 추위를 온 몸으 로 견뎌야 했다. 이 문제가 발생한 이유는 개·폐회식장이 지붕이 없는 노천시설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으로 있을 평창동계올림픽의 개회식은 영하 4.8도의 맹추위가 예상되는 2월의 저녁 시간에 진행될 예정이어서 확실한 방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 다른 문제는 숙박업소의 급상승한 가격이다. 현재 평창군 지역의 숙박업소는 올림픽 기간 동안 하루 숙박 요금을 50~70만 원으로 책정하고 있다. 더군다나 강원도 경포대의 경우에는 이미 예약까지 꽉 찬 업소도 있으며, 이 숙소들도 50~100만원의 가격으로 책정된 상태다. 이는 여름철 성수기의 요금과 비교했을 때, 3~5배 비싼 가격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평소 숙박 요금을 모르는 외국인 관광객의 경우 바가지 요금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올림픽 조직위원회에서 숙박 요금의 가격을 일정 수준으로 제한하는 가격 상한가 정책을 내놓았으나 숙박업소가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주최 측, “미흡한 부분 모두 인정해”

 그렇다면 본 문제들에 대한 주최 측의 입장은 어떨까. 본지가 직접 확인해본 결과,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인력 관리에 미흡한 점이 많은 부분에 대해 인정하고 있었다. 엉뚱한 직무 배치 문제에 있어서 본 조직위원회는 “지원자들이 예상보다 훨씬 많았고 인기 분야에 지원이 몰리면서 발생한 문제다”라고 밝혔다. 즉, 경기의 열기를 직접 느낄 수 있는 분야에 지원이 많았던 반면 교통정리 및 주차 안내와 같은 분야에는 지원자가 부족했다는 것이다. 이어 조직위원회는 “사전에 자원봉사자들에게 이러한 이유로 직무 변동이 있을 수 있다고 공지했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부족한 예산으로 인해 자원봉사자들에게 최고의 복지를 제공하지 못했다는 점 역시 인정했다. 마지막으로 조직위원회는 “평창동계올림픽이 세계적인 대회인 만큼 최선을 다해 준비하겠다”며 “이를 위해 자원봉사자들의 불만을 해소하고 최고의 대우를 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다”고 전했다.

덧붙이는 글

과거 리우올림픽에서 15000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열악한 근무 환경으로 이탈했던 일이 있었다. 평창동계올림픽 자원봉사자들이 부당한 대우로 불만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리우에서의 일이 평창에서 다시 일어나는 비극적인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모든 국민과 전 세계의 사람들이 한 마음으로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바라는 지금, 그들의 기대에 맞춰 원활한 올림픽 운영을 위한 서로 간의 충분한 소통과 협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